건강한 치아
-
시린이 처치법, 치아가 시릴 때, 레진치료건강한 치아 2024. 3. 13. 22:20
시린 이 = 시린 치아 시린 이는 자극에 민감함이나 통증을 나타내는 치아를 말하는데, 치아에 냉감이나 열감, 압력 등에 대한 예민함이 있을 때 이를 "시린 치아"라고 표현합니다. 특히 차가운 것에 심하게 반응하는데, 찬 것을 먹을 때 가볍게 차가운 느낌을 받는 것은 정상범주이지만 시린치아는 시린 느낌을 좀 더 크게 느끼고, 시큰하거나 통증이 심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증상이 심해 깜짝 놀랄 정도의 찌릿함이 느껴지면 느낌은 짧게 지속되다 사라지는 것을 경험합니다. 시린 느낌이 짧게 지속되다 사라져 대부분 처치를 받지 않지만 문제가 커질 수 있기 때문에 증상이 있거나 증상이 길게 지속되는 경우 치과에 내원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시린 이는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아 민감성 높거나 치..
-
임시 치아가 빠졌어요, 삼켰어요. 임시 치아(템퍼러리;temporary crown) 역할건강한 치아 2024. 3. 12. 20:28
임시 치아란? (temporary crown, temporary bridge) 임시치아란 치과에서 크라운(crowm)이나 브리지(bridge) 치료를 받는 중 최종보철 물을 붙이기 전까지 임시로 사용하게끔 만들어 붙여주는 보철물을 말합니다. 레진으로 만들며 얇고 충격에 약하기 때문에 잘 깨질 수 있습니다. 또 색이 정해져 있어 자연스럽지 못하고, 임시 접착제로 붙이기 때문에 끈적이는 음식을 먹거나 양치질 시 잘 떨어질 수 있습니다. 임시 치아 표면은 거친 편이기 때문에 껌이나 캐러멜과 같은 끈적이는 음식을 섭취 시 표면에 달라붙어 잘 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충치로 치료를 받을 경우 충치 깊이와 범위 정도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충치가 깊거나 범위가 넓을수록 크라운이나 브리지 치료를 할 확률..
-
브릿지와 임플란트 중 무엇으로 해야 할까요?건강한 치아 2024. 3. 11. 20:32
치아를 발거하게 되면 그다음은 심미적, 기능적으로 치아를 회복해주어야 합니다. 그대로 방치 시 주변 치아는 점차 위치가 변형됩니다. 맞닿는 치아 상실 시 윗니는 아래로 내려오고 아랫니는 위로 올라갑니다. 그리고 주변 치아는 앞니 쪽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시간이 오래 지날수록 치아를 발거한 자리는 좁아지고 주변 치아들은 벌어지게 됩니다. 어느 순간에는 임플란트나 브리지와 같은 보철을 하고 싶어도 공간이 부족해서 하기 할 수 없거나 치료를 할 시 교정 또는 주변 치아들을 깎아 크라운 치료를 해야지 보철치료가 가능해집니다. 후자의 경우 치료 비용과 기간이 많이 늘어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러다 보니 대부분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하게 되고 나이가 들어갈수록 틀어진 치열로 인해 불편감을 많이 느끼게..
-
불소도포 주의사항, 탄수화물, 지방과 충치 연관성, 자일리톨 효과건강한 치아 2024. 3. 10. 19:28
이전 글에서 충치를 예방하는 방법 설명드렸습니다. 불소도포, 치면열구전색, 식이 조절 등을 설명드렸는데 그중 불소도포 주의사항과 영양소와 치아의 관계에 대해 이번 글에서 다뤄보겠습니다. 불소(fluorine) 도포 시 주의 사항 불소 (fluorine)는 적정량 사용하면 치아 건강에 이롭지만 과다하게 복용할 시 위험한 원소입니다. 불소도포 시 가장 유의해야 할 점은 고농도의 불소를 삼키지 않는 것입니다. 특히 아이들은 치료 시 협조도가 낮아 불소를 삼킬 수도 있는데 불소는 다량 섭취하게 되면 섭취량에 따라 메스꺼움과 구토, 두동, 설사 등을 할 수 있고 심할 시 심장마비를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불소도포 중에는 불소를 삼키지 말아야 합니다. 불소도포 후 입안에 남아있는 침과 불소액은 뱉어내야 합니다. 이..
-
충치와 충치 예방법, 불소도포 시기, 충치 안 생기는 법건강한 치아 2024. 3. 9. 10:59
치아우식증=충치 (caries) 치아우식증(충치)이란? 치면세균막(= 치태, dental plaque, oral biofilm) 내 세균에 의해 당성분이 분해되는데, 이때 분비하는 것이 산(acid)입니다. 산(acid)은 치아표면을 탈회시키고 치질 내 유기성분이 용해시키는데 이 과정을 치아우식증 또는 충치라고 합니다. 치아우식증과 충치는 같은 말인데 대부분 충치라는 단어가 더 익숙하고 많이 사용합니다. 충치는 왜 생길까요? 충치가 발생하는 요인은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이 3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충치는 생기게 됩니다. 1. 숙주요인 : 치아요인 - 치아의 성분, 형태, 위치, 배열 타액요인 - 타액의 성분, 유출량, 수소이온농도(pH), 점조도, 항균작용, 완충 작용 그 외 - 연령, 성별..
-
전신 질환과 치과치료, 고혈압, 당뇨, 감염성 질환건강한 치아 2024. 3. 8. 20:44
최근 유행했던 음식 얼마나 드셨나요? 마카롱, 마라탕, 탕후루 등 한 번쯤 먹거나 들어 봤을 간식입니다. 요즘 현대인의 식습관상 젊은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고혈압과 당뇨를 앓고 있는 사람의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과거와는 달리 현대인의 식습관은 많이 변했습니다. 쌀 소비량 보다 밀가루 소비량이 더 높고, 배달 음식은 손쉽게 시켜 먹을 수 있으며, 야채보다는 고기나 패스트 푸트를 더 많이 섭취합니다. 최근에 유행했던 마라탕, 탕후루 같은 음식은 당과 지방 함유량이 높음에도 일주일에 여러 번 먹을 정도로 인기가 있었고 , 카페 음료는 하루 당 섭취량의 2~3배의 당이 들어 있음에도 초등학생부터 성인들까지 자주 먹는 음료가 됐습니다. 이런 자극적인 음식들은 중독성이 있어 자주, 많이 먹게 되고 불필요하게 ..
-
크라운 종류, 골드 크라운, 지르코니아 크라운, 세라믹 크라운, 장단점건강한 치아 2024. 3. 7. 19:50
크라운(crown)이란? 치과에서 말하는 크라운은 치아를 깎아내고 치아의 모양과 기능 회복(저작, 발음, 외관)을 위해 완전히 보철로 덮어씌우는 것을 말합니다. 치아가 없는 경우, 충치나 신경노출로 인해 신경치료를 한 경우, 심미적인 목적으로 치료를 원하는 경우 등 다양한 원인으로 크라운을 하게 됩니다. 기존에는 금속으로 된 크라운을 많이 사용하는 추세였으나 최근 기술이 발달하고 심미적인 관심이 많아지면서 금속보다는 치아색과 유사한 재료를 크라운으로 많이 사용합니다. 골드 크라운 (gold crown) 골드는 치과에서 오랫동안 사용해 온 재료로서 임상적으로 안정성이 높은 재료입니다. 우리가 잘 아는 금과 여러 가지 금속을 배합해 만들어집니다. 금은 무르기 때문에 다른 금속과 섞어 크라운을 만들어 써야 하..
-
구강 건조증 원인, 구강건조증 치료, 구강 건조증 증상건강한 치아 2024. 3. 6. 21:46
타액(침, saliva)이란? 타액(침)은 입안에 있는 무색의 투명한 점도 있는 물질로 안정적인 상황에서 분당 0.1~0.9ml 정도 분비되며, 하루 평균 1~1.5 L 정도 분비됩니다. 연령이나 계절, 시간별로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타액 분비는 하루 중 오후 4시경에 가장 많이 분비된다고 합니다. 타액은 혈액으로부터 얻은 수분이 99.2~99.5%를 차지하고 나머지는 단백질과 효소와 같은 유기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구성 성분인 당단백질의 함유량에 따라 타액의 점도가 결정되는데 함유량이 많을수록 타액의 점성이 높아집니다. 타액의 분비량과 제형은 자율신경계에 의해 조절됩니다. 이때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자극되어 나타나는 타액 분비량과 제형은 차이가 있습니다. 스트레스를 받거나 공포를 느끼거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