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치아의 착색과 변색 그리고 미백, 미백 후 주의사항, 착색이 되는 이유
    건강한 치아 2024. 3. 1. 21:20
    반응형

    shade guide

    치아의 착색과 변색(tooth stains and discolorations)

    치의학적으로 착색은 외인성 착색과 내인성 착색으로 분류합니다. 

    ▶외인성 착색(extrinsic stain): 치아의 외부면에서 발생하는 착색을 말합니다. 이 착색은 스케일링(scaling), 연마(polishing)를 받으면 제거됩니다.
    ▶ 내인성 변색(intrinsic discoloration) : 치아 조직 내에서 발생하거나 외부에서 발생하여 치아 조직이 변성 또는 착색되어 상아질 및 법랑질까지 변색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 변색은 스케일랑(scaling), 연마(polishing)로 제거되지 않습니다.

    1. 외적인 착색(extrinsic stains)
    음식물 섭취나 약물 등에 의해 착색이 일어납니다. 치아의 표면(법랑질)이 거칠거나 구강위생상태가 불량할 시에 치아의 표면이 불규칙해지기 때문에 착색이 더 잘 됩니다.

    (1) 황색 착색(yellow stain)
    나이에 관계없이 구강위생에 소홀히 했을 경우 발생하는 착색입니다. 음식물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녹색 착색(green stain)
    초록 또는 노란색의 착색으로 소아에게 많이 발생하는 착색입니다. 대개 위 앞니면(상악 전치 순면)의 잇몸과 치아경계부위(치경부)에 나타나며, 남자에게 더 많이 발생됩니다.
    (3) 검은선 색(black line stain)
    치아의 입술쪽면과 혀쪽면, 치은연 부위의 연속된 검고 뚜렷한 선형으로 보입니다. 비흡연가와 여성 및 어린이에게 서 많이 발생하는데 치은연 주위의 색소침착세포의 증식이 원인입니다.
    (4) 담배 착색물(tabacco stain)
    치아의 혀쪽면이나 치은열구 등에 단단한 암갈색 또는 흑색으로 보이는 착색입니다. 흡연자에서 주로 발생하며 치아의 변색 야기합니다.
    (5) 갈색 착색(Brown stan)
    위 어금니 볼쪽면(상악 구치협면), 아래 앞니 혀쪽면(하악전치 설면)처럼 타액선이 분비되는 곳에 나타나는 엷은 투명의 유기물이 착색됩니다. 칫솔질을 하지 않거나 세치제 없이 칫솔질을 한 경우 잘 생깁니다.
    (6) 금속성 착색
    동(구리), 은, 니켈, 금, 철, 수은, 카드뮴 등으로 인한 착색을 말하는데, 금속성 물질을 계속 사용하는 작업환경에서 일할 경우 치아가 산화되면서 금속성 물질이 흡수되거나 치과 치료 시 사용되는 금속에 의해 착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내적인 착색
    (1) 무수치(pulpless teeth) - 치수가 없거나 죽은 치아
    혈액이나 치수조직의 출혈, 치근관 치료 또는 괴사 등의 치수조직 분해 결과로 인해 착색이 형성됩니다.
    연노란색, 청회색, 붉은 갈색, 흑갈색 또는 오렌지나 녹색 등으로 나타납니다.
    (2) 금속에 의한 착색
    이전 치과 치료에서 치과용 아말감으로 치료했을 경우 주위의 치질 내에 회색 또는 혹색으로 변색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3) 법랑질 형성부전증(enamel hypoplasia)
    치아의 겉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법랑질 부분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흰 반점을 가지고 맹출 된 치아의 경우 주변과 다른 백색을 띠어 착색된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노란 갈색이난 회갈색을 띨 수도 있습니다.
    (4) 치아 불소침착증(dental fuorosis)
    치아의 겉 층인 법랑질이 석회화되는 기간 중 불소 이온이 2ppm이상 함유된 물이나 음료의 과잉섭취로 인해 발생되는 착색입니다. 흰 반점이 형성되어 맹출 하여 점차 갈색으로 침착됩니다. 심한 경우 치악 파이거나 갈라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항생제 복용(tetracycline)
    테트라사이클린이 함유된 약을 임신부가 복용 시에 태반을 동해 태아의 치아발육에 영향을 주어 치아변색을 초래하게 됩니다. 후에 아이의 치아가 맹출 하면 밝은 갈색에서 흑갈색 또는 회색의 띠를 보일 수 있습니다.

    미백 상담


    3. 치아 미백

    대부분 더 하얀 치아를 원해 미백을 하지만, 치아의 일부 갈색이나 하얀색으로 보이는 부분을 미백으로 밝게 하고 싶어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위에 설명드린 것처럼 내인성 착색의 경우 미백을 해도 좋아지지 않습니다. 미백은 오히려 주변 치아의 색을 밝게 만들어 그 착색 부분이 더 도드라져 보일 수 있습니다.

    (1) 치아 미백 종류
    여러 방법으로 치아 미백이 이루어집니다.
    1. 전문적인 치과 미백: 치과에서 받는 전문가 미백은 특수한 젤이나 광조사 등을 사용하여 치아를 효과적으로 밝게 만듭니다.
    2. 가정용 미백 제품: 치과에서 구입 가능한 가정용 미백 제품, 특히 튜브 형태의 젤이나 미백스트립 등을 사용하여 집에서 치아 미백을 할 수 있습니다.
    두 가지 방법 모두 치과 의사에게 상담 후 진행되어야 하며 전문가 미백과 가정용 미백을 겸하면 더 오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속적이고 잦은 미백은 치아를 예민하게 만들고 시리게 만들어 추천하지 않습니다.

    (2) 치아 미백 안 되는 치아
    보철물로 수복한 치아 - 크라운, 인레이, 레진 등으로 수복한 치아는 미백이 되지 않습니다.
    치근이 노출된 치아 - 치아의 뿌리 부분은 치아머리 부분과 달리 노랑이나 연갈색에 가까운 좀 더 어두운 색을 띱니다. 치근이 노 된 경우 치아가 더 어두워 보일 수 있는데, 치근은 미백을 하면 매우 시리고 원래의 자체의 색이 어둡기 때문에 미백을 하지 않습니다.
    치경부 병변이 있는 치아나 금 간 치아 - 치경부가 파여 있거나 치아에 금이 가있는 경우 이 부분을 통해 약이 들어가면 매우 시리고 치아가 예민해질 수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는 미백약을 바르지 않습니다.
    미백 약 적용 부위에 충치가 있는 치아 - 미백 약을 바르는 부위에 충치가 있는 경우 미백보다 충치치료가 우선되어야 합니다.
    시린 치아- 원래도 시린 증상이 있던 치아의 경우 미백할 때나 미백 이후 더 시린 증상을 느낄 수 있습니다. 계속 시린 증상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신경치료까지 할 수도 있습니다.

    *치아 미백 상담 시 본인이 원하는 밝기의 정도나 밝아지고 싶은 부위를 정확히 말해야 합니다. 의사소통의 오류시 원하는 부분은 미백이 되지 않아 치아 미백 후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3) 미백 후 주의사항
    - 미백 후 색이 있는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피하는 기간이 길 수록 미백이 더 오래 유지됩니다.
    - 치아 미백 후 일시적으로 치아가 민감해질 수 있습니다. 냉수나 뜨거운 음료를 섭취할 때 주의가 필요하며, 지속 시 치과 전문가와 상담이 필요합니다.
    - 색소 섭취 피하기 : 미백 후 일시적으로 치아가 색소를 더 쉽게 흡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백 후에는 차, 커피, 와인, 담배 등 색소가 많은 음식과 음료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미백 후에도 일상적인 구강 관리가 중요합니다. 꾸준한 칫솔질, 치실 사용, 정기적인 치과 검진은 필수입니다.
    - 자주 미백을 하는 것보다 치과 전문가의 권장에 따라 적절한 주기로 미백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나치게 자주 미백을 하면 치아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